고깃집에서 골뱅이 모양의
장아찌가 반찬으로 나왔는데
고기와의 맛 궁합이 좋고,
아삭 거리는 식감이 좋아
어떤 재료인지 물어보았더니
초석잠이라고 하는 식물이라고 하여
어떤 식물인지 찾아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초석잠이란?
초석잠은 12월에 수확합니다.
초석잠 줄기는 서리를 맞아 갈색으로 변하는데
줄기를 자른 후 흙을 조심스레 파면
감자나 고구마 처럼 덩이줄기마다
진주색을 띤 초석잠이 붙어있습니다.
뿌리는 3~6cm정도로 자라는데
형태가 누에 모양을 하고 있어
식물의 동충하초라고도 불립니다.
초석잠 뿌리는 기억력을 증진하고,
뇌경색에 효과가 있으며
장을 강화하는 장수채(오래사는 나물)로써
맛이 달고 독이 없어
옛날부터 애용해 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초석잠의 효능
1. 뇌
채소 중에서
페닐에타노이드와 콜린은
초석잠에만 존재합니다.
이 성분들은 뇌 기능을 활성화하여
기억력, 인지력, 집중력을 향상시켜
치매 예방과 두뇌발달 및 뇌경색 예방,
알츠하이머, 건망증 등에 도움이 되어
남녀노소 할것없이
모두에게 도움이 됩니다.
우리의 뇌에는 뇌혈관막 이라는
좋은 성분들의 흡수를 방해하는 막이 있지만
콜린 성분은
이 장벽을 통과할 수 있어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2. 장
초석잠 뿌리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이는 감자 같은 전분 성분이 아니라
모두 올리고당입니다.
올리고당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장의 연동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장 속에 유익균이 증식하는 것을 도와
장의 기능을 촉진하여
변비 개선, 장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면연력 강화, 영양소 흡수를
활발하게 해 줍니다.
3. 간
콜린이라는 성분은
간장의 기능을 촉진해
인체의 조직에 쌓인 독소나
약물을 없애는 것을 도와 간경화나
지방간이 생기는 것을 막아줍니다.
4. 혈관
아르기닌과 콜린, 스타키드린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들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주고,
혈행을 개선하여 혈관 건강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이렇듯 혈액 흐름이 원활해지게 되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등과 같은
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5. 이뇨 작용
이뇨작용이 뛰어나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몸속에 쌓인
노폐물의 체외 배출을 도와주고
소변의 배출을
편하게 해줄 수 있게 도와줍니다.
6. 피부
유황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피부 염증과 피부진균을 억제해
염증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피부질환, 여드름, 아토피 등의
강력한 항염작용으로
피부 질환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노화를 억제해 줍니다.
7. 관절염
초석잠을 꾸준히 섭취하면
관절염 신경통 개선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우수한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8. 여성질환
꾸준히 섭취하면
생리불순이나
월경과다, 월경불순 등의
여러 여성질환을 개선하고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 초석잠 주의할 점
초석잠은 무독성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어
누구나 먹을 수 있지만
권장 섭취량이 있고
몸이 차가운 사람,
혈압이 낮은 사람이
지나치게 많이 섭취할 경우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성은 자궁 수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임산부는 주의해야 합니다.
하루 권장 섭취량 생초석잠은 50g 건초석잠은 10~20g |
초석잠 먹는 방법
생으로 섭취하는 방법에는
장아찌 및 동치미,
담금 술로 섭취하는 방법이 있고
말려서 섭취하는 방법에는
차로 끓여 마시거나
가루형태로 만들어
빵이나 쿠키 만들 때 활용 가능합니다.
생초석잠은 밀봉 후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백종원 장아찌 간장 소스를 활용한
초석잠 장아찌 만들기
진간장 1컵
물 1컵
식초 2/3컵
설탕 2/3컵
다 섞어서 끓인 후
소스가 뜨거울 때
초석잠에 부어줍니다.
뜨거울 때 부어야
아삭한 식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실온에서 하루정도 숙성 후
냉장 보관하면 됩니다.
매콤한 맛을 원하면
청양고추를 넣어
소스를 끓이거나
초석잠에 같이 넣어
보관하면 됩니다.
'볼거놀거먹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수] 쟝블랑제리 크리스마스 빵 슈톨렌 (0) | 2022.12.14 |
---|---|
오독오독한 식감의 궁채의 효능과 주의해야 할 점, 보관 방법. (0) | 2022.12.14 |
[강남] 알라프리마 런치 (0) | 2022.12.04 |
[성수] 물레 도자기 체험 (0) | 2022.12.02 |
[판교] 스시다케루-디너 / 오마카세 (0) | 2022.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