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과 이야기

틀니 - 종류, 진행 과정, 알아야 할 것

by 윤슬구르메 2022. 12. 23.

충치로 인해 또는 잇몸이 안 좋아서

발치를 한 경우 치아의 수가 적으면

보통 임플란트나 브릿지로 치료를 하지만

치아가 많이 없는 경우

틀니라는 선택방안이 늘어난다. 

 

틀니의 경우 수술적인 진료가 아니라

발치 이외에 진료받는 데에는

큰 부담이 없지만

적응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자연치아 씹는 힘의

50% 정도 밖에 재현하지 못한다. 

 

또한 잇몸이 계속 주저앉기 때문에

틀니가 헐거워지게 되는데

치료가 완전히 끝난 이후에도

틀니를 계속 조정해야 하고

심한 경우에는 다시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1. 틀니의 종류

 

틀니의 종류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치아가 완전히 없는 경우 사용하는 전체 틀니, 

부분적으로 치아가 없는 경우

사용하는 부분틀니, 

치아가 완전히 없는 경우 유지력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임플란트-틀니.

 

 전체틀니와 부분틀니의 경우

만 65세 이상은 보험적용이 되며

비용은 22년, 건강보험 기준으로

한쪽당(1악당/위 또는 아래) 약 45만원정도이다.

의원_병원_틀니_수가표
의원,병원 틀니 수가표

위 수가표를 보면 부분틀니와

레진상 완전틀니,

금속상 완전틀니로 

나뉘는데

레진상 완전틀니는

플라스틱으로만 이루어진 전체틀니이며

금속상 완전틀니는

플라스틱 안에 금속이 덧대어져

힘을 잘 견딜 수 있는 전체틀니이다.

 

한번 제작하게 되면 같은 종류로는

7년 이후에 다시 보험적용받아

틀니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틀니를 사용하다가 전체틀니로

변경하는 경우 7년 상관없이

만 65세만 넘으면 보험적용가능하지만

 

부분틀니사용 중인데

다시 부분틀니를 만드는 경우,

전체틀니에서 전체틀니를 다시 제작하는 경우는

처음 제작한 틀니 기준으로

7년 뒤에 다시 제작가능하다. 

 

임플란트-틀니 같은 경우에는

보험적용이 안되며

완전 틀니의 단점을

보완한 틀니라고 생각하면 된다. 

 

전체 틀니의 경우

침에 의해 잇몸에 붙어있어

틀니가 유지되지만

잇몸의 모양이 변함에 따라서

틀니가 헐거워지고 잘 빠지게 된다.

 

임플란트-틀니의 경우

치아가 완전히 없는 경우에 가능하며

임플란트_틀니_의 모형
임플란트-틀니의 예시

윗니는 임플란트 4개,

아랫니는 임플란트 2개를 심어

잇몸 위로 단추를 올려

틀니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전체틀니는 자연치아 씹는 힘의

50%밖에 재현 못하지만

임플란트-틀니의 경우에는

씹는 힘이 더 세다. 

 

또한 윗니 틀니인 경우

입천장을 다 덮지 않아서 

편안한 틀니로 사용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전체로 하는 것보다는

수술적인 면이나 비용적인 면에서

부담이 덜 되기 때문에 많이 진행한다. 

 

2. 틀니의 진행과정

  1. 안 좋은 치아 발치
  2. 임시틀니 사용
  3. 틀니 본뜨기 위해 맞춤형 본뜨는 틀 제작
  4. 전체틀니 본뜨기
  5. 높이 체크
  6. 치아 배열 체크
  7. 틀니 완성

위 과정은 전체틀니 기준이며

부분틀니의 경우 2번과 3번 사이에

틀니 고정을 위해

치아를 씌우는 크라운치료가

들어가기도 한다. 

 

보통 발치한 곳 잇몸이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임시틀니를 사용하게 되는데

기간은 1달에서 2달 정도 소요된다. 

 

임시틀니를 사용하며

틀니에 대해 적응하는 기간을 가지고

나중에 완성될 틀니의 원하는 점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틀니가 완성된 이후에 완전히 끝이 아니다.

새 신발을 신으면 발이 적응될 때까지

기간이 필요한데 틀니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에는 아픈 부위도 많고

많이 불편할 텐데

그때마다 병원에서 체크 후

조정이 필요하면 조정해야 한다.

때문에 틀니를 치료받으려면

먼 곳에 있는 치과보다는

자주 갈 수 있는 근처 치과에

다니는 것이 좋다. 

 

3. 알아야 할 것

 

틀니는 적응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불편하더라도 낀 상태로

발음도 많이 해보고

많이 씹어봐야 금방 적응할 수 있습니다. 

 

주무실 때는 꼭 빼고 주무셔야 하며

예전에는 틀니를 빼놓으면

물에 담가놓으라고 설명드렸으나

요즘은 재료가 좋아져서

틀니를 빼고 계실 경우

닦아서 마른 상태로 보관하시면 됩니다. 

 

 틀니는 플라스틱 재료이기 때문에

떨어트리면 깨질 수 있고

뜨거운 것에 닿으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닦을 때는 치약이 아닌

주방세제나 틀니 전용 세척제를 사용하여

닦아주셔야 합니다.

치약으로 닦게 되면

치약 안에 있는 마모제 성분으로 인해

작은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안쪽에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불편한 곳이 있으면

집에서 직접 조정하지 마시고

꼭 병원에 오셔서 체크받으셔야 합니다. 

 

 

 

댓글